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사망율

코로나19 백신의 남여사망율 차이 분석(21.12.31) 오늘은 코로나19 백신의 남여사망율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남자보다 여자가 더 코로나백신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막연한 추측이 있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더 중대이상반응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사망율을 분석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더 사망율은 높다고 하겠습니다. 공식집계사망은 남자 698건, 여자 425건입니다. 그런데 중대이상반응 죽 사망은 하지 않으나 중환자실에 들어가는 비율은 또 여자가 높습니다. 아래는 질병관리청의 발표자료입니다. 모쪼록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망율(21.12.31) 오늘은 코로나19 백신 21.12.31일 기준 접종 이상반응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동안 3차백신까지 접종이 되었습니다, 그동안의 이상반응을 종합해보면 전에 9998건 접종한 가운데 중대이상반응은 15,167건으로 0.015% 입니다. 다른관점으로 보면 만명당 1.5명이 아주 중대한 이상반응(사망이나 중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명의 경우는 약 십만명당 1명 정도가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주요한 이상반응은 십만명당 14명정도가 중대한 이상반응으로 병원에서 집중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그냥 병원까지 갈 정도의 이상반응은 약 천분의 4명정도가 발생하게 됩니다. 다음은 질병관리청의 보고자료입니다. 1차부터 3차에 이르는 동안 이상반응의 수가 줄어든 것은 접종자의 숫자가 줄은 것도 있겠지만,.. 더보기
코로나19 백신 접종 연령대별 사망률('21.9.2) 오늘은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주간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보고서에 나타난 연령대별 사망률을 알아보겠습니다. 연령대별 사망률은 40대에서 100만분의 4명(0.0004%)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30대는 백만분의 1명이고, 20대는 백만분의 1명보다 적습니다.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사망자가 많아지는 것은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고령층에 더 많기 때문입니다. 개인별로 코로나 접종하실 때에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계속 코로나관련해서 변동사항이 있으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코로나가 마치는 날까지 건강하세요. 더보기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연령별 사망자 수 및 치명률 오늘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연령별 사망자 수 및 치명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동안 코로나19에는 많은 관심을 저는 기울이지 않았는데 아무래도 밀접한 사안이다 보니 조금 더 신경써보려 합니다. 백신접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어떤 분들은 백신의 부작용이 두려워서 맞지 못한다고 하는 분도 계십니다. 건강하시고 기저질환이 없으신 분들은 어서 맞으시는 것이 좋지 않을 까 싶습니다. 이제 WITH 코로나의 시기로 간다고 합니다. 어찌보면 40세이하의 치명율은 낮으므로 40세 이하들에게는 어느정도 활동을 보장해주고, 고 위험군인 50대이상을 좀 더 집중관리하는 방식은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다음은 백신접종에 따른 연령대별 치명율입니다. 확실히 고령층에서의 치명율이 대폭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