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치명률

('21.9.12)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연령대별 사망자 현황 및 치명률 오늘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연령대별 사망자 현황 및 치명률에 대해서 9.12일 현황으로 다시 알아보려합니다. 아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사망률의 최신버전입니다. 중대이상반응이란 단순 고열 정도가 아니라 병원의 입원치료를 요하는 중증상태를 의미합니다. 특별히 젊은 층의 상태를 알아보겠습니다. 이제 전 연령층이 거의다 600만명 정도는 백신을 맞은것 같습니다. 물론 1차접종 기준이겠지요. 이상반응률은 18-60세 정도까지는 십만분의 12명- 십만분의 18명 정도로 나타납니다. 그런데 특이하게 30대의 이상반응이 높아보입니다. 이것은 제 추측입니다만은 제일 사회적 활동이 많은 나이여서, 백신접종후 몸을 사리지 않고 과하게 활동을 했거나 해서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특정 백신이 영향을 준건지 등.. 더보기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청년,장년층(18-49세) 확진자의 사망자수 및 치명률 분석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근거로 18-49세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감염 및 중증 예방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위중증에 대해 정의해 보겠습니다. ㆍ(위중증) : 코로나19 감염자 중 추적관찰기간(28일) 내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의 치료를 받는 경우 접종완료자 발생 시작 시점인 4월 3일부터 8월 14일까지 해당 연령대 확진자의 예방접종력을 분류한 결과 18~49세 확진자 중 93.7%가 미접종자, 4.2%가 불완전접종자, 2.1%가 완전접종자였습니다. □ 18-49세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감염 및 중증 예방효과는 다음과 같다. ◇ 분석대상 : 접종완료자 발생 시작(‘21.4.3... 더보기
국가별 인구수를 감안한 확진자수와 사망자수 오늘 발표된 질병관리청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구가 각기 달라 나라들이 발표하는 순 확진자수와 사망자수를 가지고 어느나라가 더 방역대책을 잘하고 있는지를 비교할수 없습니다. 그래서 백만명단위의 비교수치로 만들어서 비교하게 됩니다. 100만명당 확진자수와 사망자수('21.8.22)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일본, 우리나라 순으로 100만명당 사망자수가 적습니다. 특이한 것은 이스라엘은 100만명당 확진자수가 많은데 사망자수는 적습니다. 상세 숫자는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구백만명당 누적치명률('21.8.22) 이번엔 치명율입니다. 코로나19에 확진이 되었을때 사망에 이르게 되는 비율입니다. 이스라엘은 0.7%, 우리나라는 0.9%입니다. 자세한 숫자는 아래..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