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예측 썸네일형 리스트형 열연강판과 냉연강판에 대하여 오늘은 열연강판과 냉연강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철강수요에 대해서 쓰려니 같이 알아야 할 정보록 기재해보겠습니다. 철판 (Plate)이란 무엇일까요? 철판은 말 그대로 철로 만든 판으로 나무로 만든 합판과 비슷하며 철판 혹은 판재라고 부릅니다. 통상 두께가 6mm 미만인 철판을 박판(얇은 판)이라고 부르고 두께가 6 mm(업계에선 밀리미터를 T[티]라고 한다) 이상인 철판을 후판(두꺼운 판)이라고 부르는데요 철판은 두께 1.6mm ~ 160mm, 넓이는 3자 X 6자(자 = 1피트, 304.8mm)부터 6자 X 20자까지 다양한 규격 사이즈로 생산되며 제조방식에 따라서 크게 열연강판과 냉연강판으로 나뉩니다. 1. 열연강판(HR : Hot Rolled Steel Plate) 열연강판은 철.. 더보기 AI를 이용하여 주식 시장 움직임 예측하기 AI를 이용한 주식가격 예측에 관심이 많습니다. 인터넷에서 가져온 내용을 한국사람이 읽기 좋게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통계학적 용어와, AI분석용어가 섞여서 읽어내기 쉽지 않지만, 보다 정확한 주식예측을 위해서 다양한 접근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지혜를 얻으시면 좋겠습니다. AI의 최신 발전을 사용하여 주식 시장 움직임 예측 이 노트북에서 나는 주가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한 완전한 프로세스를 만들 것입니다. 잘 따라오시면 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위해 Recurrent Neural Network의 일종인 LSTM 을 Generator로 하고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인 CNN 을 Discriminator로 사용하는 GAN( Generative Adversar.. 더보기 2023 트렌트 코리아 핵심 내용 한동안 놓았던 블로그를 다시 시작해봅니다. 여러분의 일상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2023 트렌트 코리아가 발간되었습니다. 아래의 주제가 핵심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책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공간력 오피스빅뱅 체리슈머 인덱스관계 뉴디맨드 디깅모멘텀 알파세대 선제적 대응기술 공간력 네버랜드 신드롬 2022년을 잘 마무리 하시고 2023년 알차게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오늘은 2022년의 13대 산업의 주요 수출/수입증가율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나라의 어느산업에서 수출이 많이 일어날지가 궁금하실텐데요. 1년의 미래전망을 한번 살펴보시죠. 2021년에는 제일 수출증가율이 높은 부분은 석유수요가 급증한 정유와 석유화학, 그리고 경기회복으로 인한 생산증가로 철강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반도체, 가전, 정보통신 이차전지, 자동차 등이 약 20%대의 수출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022년은 전망이니 아직 팬데믹의 두려움이 가시지 않은 상태여서 정유를 제외하고는 다들 장및빛 전망을 내 놓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2021년 수출증가율이 높았던 분야가 역시 2022년도 증가율이 높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2022년 주요산업별 수출 증가율 전망 2022년 주.. 더보기 2023년 철강가격동향(30년 철강가격 그래프) 2022년 2월 24일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이 특별 군사작전 개시 명령을 선언한 이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발발한 전쟁이 22년에 일어났습니다. 아래는 올해 상반기까지의 통계를 근거로 한 철강분야의 주요원자재 가격동향입니다. 전쟁이 2월에 일어났는데, 철광석의 수입은 이전과 바슷한데, 철스크랩(국내, 수입), 철근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특이한 것은 열연과 냉연가격이 급격히 떨어진 것입니다. 21년도에 기술한 내용 중에서, 열연과 냉연 가격이 상승하리라고 전망한 것은 크게 잘못된 예측이 되었습니다. 이미 곧 하반기 통계가 발표될 것 같은데, 22년 하반기에도 더 떨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 용어해설 철스크랩 : 일반적으로 고철이라 부르며, 철강 생산과정, 철강재 가공.. 더보기 2022년 국제 원유가 전망 오늘은 2022년 국제 원유가 전망을 해보려 합니다. 2021년까지의 시계열 그래프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1년 석유수요회복으로 인해 가파른 상승세가 이어졌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수요증가를 주도했습니다. 이런 수요상황에서 opec+는 2021년중에 감산계획을 변경하여 생산량을 통제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8-9월의 허리케인의 영향으로 미국의 원유생산도 차질을 빚었습니다. 22년은 공급과잉에 접어들어 가파른 가격하락이 예상 국제원유가에 영향을 줄 요인은 세계경제상황, 석유수급, 달러화 가치, 여러 국제적이고 지역적인 사건과 사고, 분쟁에 따르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석유수요는 2022년에도 회복세를 지속하리라 에상됩니다. IMF는 2022년 경제성장률을 4.9%로 예상했습니다. OPEC+가 합의대로 40만.. 더보기 울릉도에는 어느지역 사람들이 많이 갈까요? 울릉도는 독도와 함께 우리나라 동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어느지역에서 울릉도를 많이 방문할까요? 울릉도행 배가 출발하는 지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있는 분들이 많이 가거나, 또 관광으로 많이 가시지 싶습니다. 이제 울릉공항이 만들어지면 더 많은 지역의 분들이 방문하고 독도도 자주 방문할수 있는 그런 날이 빨리 오면 좋겠습니다. 더보기 코로나 시국에 제주도는 어디지역 사람들이 제일 많이 갈까요? 코로나가 한창인 2020년 12월부터 2021년 11월말까지 제주도에는 어느지역사람들이 제일 많이 갔을까요? 궁금해서 알아보니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아래는 매주 평균 방문자수가 많은 100대 지역을 표시했습니다. 주로 경부선 라인을 따라 흐르는 벨트가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의 부의 벨트라고 불러야 하겠네요^^ 상위 10대 지역을 보면 서울 강남,강서, 송파, 서초,등등 서울지역이 상위 랭크에 올라갑니다. 경기도 김포지역 사람들도 비행기타면 금방 가니깐 쉽게 가는 것 같습니다. 재미있고 흥미로운 결과입니다.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