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코로나19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해제 궁금증 해결하기 오늘은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해제에 대한 궁금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늘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21.10.3) 국가별 코로나19 백신접종현황 주요 국가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상황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는 1차접종기준으로는 제일 높은 비율입니다. 전체 인구의 77.4%가 접종을 완료하였습니다. 접종 완료기준으로는 52.7%로 66.1%인 프랑스 대비해서는 아직은 좀 떨어지지만 곧 비슷하게 따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모쪼록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질병관리청의 발표자료('21.10.4) 를 인용합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에 대해 유럽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지난주에 비해 감소한 상황이며, 싱가포르에서 2주 연속 역대 최대 발생을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 최근 1주간(9.27.∼10.3.) 전 세계 신규환자는 312만 명(WHO 기준)으로 전주(341만 명)에 비해 감소하.. 더보기
('21.9.25)코로나19 예방접종 사망률과 중대이상반응 오늘은 '21.9.25일자 기준으로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현황을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일 많이 맞은 백신은 화이자 입니다. 얀센이 제일 적게 맞았지만, 그래도 142만회 이상 접종되었기에 각 백신별로 이상반응을 비교해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일 이상반응 신고가 높은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 얀센 > 화이자 > 모더나 순으로 중대이상반응 신고율이 적습니다. 사망률을 살펴보면, 아스트라제네카 > 화이자> 얀센 > 모더나 순으로 사망자 비율이 나왔습니다. 특이한 점은 얀센이 이상반응은 많이 신고되었지만 사망률은 낮다는 것입니다. 이는 얀센을 접종받은 연령대가 우리나라는 주로 젊은 층이어서 이들의 왕성한 활동때문에 .. 더보기
('21.9.12) 코로나19 백신접종 연령별 중증발생 비율 오늘은 질병관리청의 '21.9.25일 발표자료를 토대로 코로나19 백신접종 연령별 중증발생 비율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코로나19 백신접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아직 접종하지 않으신 분들도 많고 걱정이 많으신 분들도 많을 듯 합니다. 심각한 기저질환이 있고 몸에 자신이 없다면 접종을 한번 더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그렇지만 백신 접종을 하면 현저하게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도 중증으로 전환 되는 일이 줄어들게 되므로 더욱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아래 표에 보시면 백신 접종을 하지 않으면 60대이상에서는 현저하게 중증발현비율이 높아짐을 볼 수 있습니다. 80대분들에겐 거의 확진될 경우 4명중의 한명이 중증이 되어 버리는 심각한 일이 일어납니다. 하지만 같은 80대라 .. 더보기
코로나19 연령대별 백신별 접종 분포('21.9.18) 오늘은 코로나19 연령대별 백신별 접종 분포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코로나19 접종후에 불행하게도 사망하게 되시는 분들도 발생하여서 슬픔을 더하고 있습니다. 급하게 만들어진 백신이니만큼 안정성이 타 백신들보다는 좋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더더욱 조심해서 맞고 맞은 후에도 자신의 몸 상태를 체크하면서 건강에 유의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추석전후로 활동이 많은 만큼 더욱 주의하여야 하겠습니다. 질병관리청이 '21.9.18일에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어떤 연령층이 어떤 백신을 제일 많이 맞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백신별로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는 백신별 사망률도 알고보면 고 위험층에서 얼마나 많이 맞았는지를 같이 고려해야 실제적인 위험률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 표를 보면 8.. 더보기
('21.9.15)코로나19 백신별 중대이상반응 및 사망률 오늘은 코로나19 백신별 중대이상반응 및 사망률(21.9.18)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코로나19 초기에 어느백신이 좋으냐 라는 문제가 논란이 많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백신이 세계적으로 귀하고 품귀에서 우리마음대로 백신을 골라서 사용할수는 없었겠지요. 그래서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를 가지고 서로 분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질병관리본부의 21.9.18일 자료를 근거로 살펴보겠습니다. 화이자는 삼천만회 정도 접종되었고, 아스트라제네카는 1900만회 정도 접종되었습니다. 모더나는 500만회, 얀센은 140만회 정도 접종이 되었네요. 중대이상반응은 얀센 > 아스트라제네카 > 화이자 > 모더나 순입니다. 모더나가 제일 안정적입니다. 사망자를 살펴보면 모더나(0.0003%,백만분의 3) < 얀센(0.000.. 더보기
코로나19 감염은 이제 나이가 문제가 아니라 접종여부의 문제로 바뀌었다는 증거 오늘은 코로나19의 전투양상이 변하고 있다는 징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병관리청이 2021.9.15일에 발표한 자료 중에서 최근에 보여주지 않은 새로운 관점의 표가 나타났습니다. 바로 코로나19 의 최근 2주간 확진자들의 연령대별 분포입니다. 물론 정확하게 보려면 해당연령층의 전체 인구대비 확진자 수도 보고 해야 겠지만 어쨌든 접종률이 높은 고령층은 이제 확진자가 많이 생기지 않고, 낮은 연령대에서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제일 접종률이 낮은 집단에서의 발생이 높고, (밀폐된 조직인 군대가 있는데도 높네요)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낮아지고 있습니다. 젊은 층에서 빨리 접종을 받아야 할 이유가 되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또 본인의 몸상태를 잘 체크하고 기저질환이 있는지 잘 살피고 맞으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21.9.12)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연령대별 사망자 현황 및 치명률 오늘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연령대별 사망자 현황 및 치명률에 대해서 9.12일 현황으로 다시 알아보려합니다. 아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사망률의 최신버전입니다. 중대이상반응이란 단순 고열 정도가 아니라 병원의 입원치료를 요하는 중증상태를 의미합니다. 특별히 젊은 층의 상태를 알아보겠습니다. 이제 전 연령층이 거의다 600만명 정도는 백신을 맞은것 같습니다. 물론 1차접종 기준이겠지요. 이상반응률은 18-60세 정도까지는 십만분의 12명- 십만분의 18명 정도로 나타납니다. 그런데 특이하게 30대의 이상반응이 높아보입니다. 이것은 제 추측입니다만은 제일 사회적 활동이 많은 나이여서, 백신접종후 몸을 사리지 않고 과하게 활동을 했거나 해서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특정 백신이 영향을 준건지 등..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