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코로나19

코로나19 와 만성 호흡기 질환, 폐질환, 천식의 관계 오늘은 코로나19 시대의 만성 호흡기 질환 관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될 위험이 증가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중증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코로나19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평소에 만성 폐쇄성 폐질환 치료를 위해 처방 받은 약을 용법대로 잘 복용해야 하며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빠르게 대처해야 합니다. 천식이 있는 사람 천식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될 위험이 증가하거나 코로나19 관련 사망의 위험이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천식의 증상이 심하거나, 천식 조절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경구 스테로이.. 더보기
코로나19 백신별 주요이상징후/사망 발생까지의 경과 일수('21.9.2)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런데 접종후유증에 대해서 걱정들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코로나19 백신별 사망까지의 경과일수('21.9.2)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해당 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단 접종자수가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가 제일 많고 다른 두 백신은 접종한 사람이 적고 또 그에 따라 사망자도 아직 적어서 유의미한 통계가 되지 어렵겠다 싶어서 제외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보면 3일까지의 사망자가 많고, 또 7일이상이나 투병하다가 사망하게 되는 경우도 총 사망건수의 약 36%에 이릅니다. 그렇기에 접종후 3일을 넘었다고 마냥 좋아하지 마시고 몸 상태를 늘 면밀히 챙겨보시기 바랍니다. 백신별 사망자 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백신명 아스트라제네카 화이.. 더보기
코로나19 백신 접종 연령대별 사망률('21.9.2) 오늘은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주간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보고서에 나타난 연령대별 사망률을 알아보겠습니다. 연령대별 사망률은 40대에서 100만분의 4명(0.0004%)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30대는 백만분의 1명이고, 20대는 백만분의 1명보다 적습니다.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사망자가 많아지는 것은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고령층에 더 많기 때문입니다. 개인별로 코로나 접종하실 때에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계속 코로나관련해서 변동사항이 있으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코로나가 마치는 날까지 건강하세요. 더보기
코로나19 백신 연령대별 접종현황 (9.6. 0시 기준) 오늘은 연령대별 접종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회의 여러계층에 속한 업무군별로 그동안 발표자료가 나왔는데. 이번에는 연령으로 나누어서 통계가 나왔습니다. 50대의 1차와 2차의 접종의 간극이 제일 큽니다. 40대 이하의 빠른 접종도 기대해 봅니다. 【연령대별 접종현황 (9.6. 0시 기준)】 구분 인구(명)* 1차 접종 접종 완료 1차접종자(명) 인구 대비 접종률(%) 접종완료자(명) 인구 대비 접종률(%) 계 51,349,116 30,005,459 58.4 17,751,820 34.6 연 령 80세 이상 2,255,736 1,863,037 82.6 1,780,185 78.9 70∼79 3,757,129 3,474,049 92.5 3,309,226 88.1 60∼69 7,140,703 6,656.. 더보기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별 통계표(9.2) 이제 젊은 층의 코로나19 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질병관리청은 9.2일에 코로나19 접종후 이상반응에 대한 통계분석을 발표하였습니다. 그중에서 코로나19의 백신별 이상반응의 종류와 건수를 살펴보았습니다. 각자 다른 백신들을 맞기 때문에 전체 이상반응의 비율은 별로 개인에게는 관심이 없고, 오직 자신이 맞는 백신에 대한 이상반응만 관심이 있으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전체 이상반응 신고건수와 비율 순 위 이상반응 신고 171,159 백분율 1 근육통 43596 25.5% 2 두통 43215 25.2% 3 어지러움 29327 17.1% 4 메스꺼움 21211 12.4% 5 발열 20309 11.9% 6 알레르기반응 18245 10.7% 7 오한 16767 9.8% 8 접종부위 통증, 10970 6.4% .. 더보기
코로나19 백신연령대별 1,2차 접종현황('21.9.5) 코로나19 예방접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일반 국민은 얼마나 접종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50대까지는 1차는 거의 맞았습니다. 2차는 60대까지는 거의 맞았습니다. 어서 18-49세까지 다 맞아서 사회구성원들이 건강하게 사회생활했으면 좋겠습니다. 코로나19 백신연령대별 1,2차 접종현황('21.9.5) 구분 접종시작일 접종대상 1차접종자 접종완료자 1차접종율 접종완료율 75세이상 4.1~ 3,436,303 3,010,400 2,947,882 88.7 86.9 60-74세 5.27~ 8,642,276 7,512,272 6,968,302 90.5 84.0 50-59세 7.26~ 7,223,883 6,122,568 91,397 87.0 1.3 18-49세 8.26~ 14,808,753 1,195,972 0.. 더보기
코로나19 20대 사망사례를 중심으로 본 접종 후 주의사항('21.9.1) 20대-40대의 코로나접종을 앞두고 있습니다. 60대 이상의 코로나 접종은 이제 2차접종까지 거의 70%이상이 완료되어서 맞으려고 하는 분들은 거의 다 맞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대-40대는 사회활동이 왕성하므로, 사회활동을 위한 백신접종이 중요합니다. 아마 대부분의 직장 등 기관에서는 백신접종여부에 대하여 증명서를 제출해 달라고 요청할 것 같습니다. 보육기관, 요양기관, 직장, 서비스업종 등 사람들을 만나고 함께 일하는 직종들은 다 해당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제 20-40대의 접종을 앞두고, 기존 접종하신 분들의 부작용을 살펴보고 접종 후 주의할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앞전에 제가 올린 블로그에서 접종후의 주의할 점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습니다. 2021.08.30 - [건강] - 코로.. 더보기
코로나19 백신별 최종 사망률('21.9.1) 드디어 찾았습니다. 그동안 코로나19 백신별로 자꾸 사망하는 사람들이 발생해서 도대체 백신을 맞고 얼마나 사망하는지가 무척 궁금했는데 , 질병관리본부의 자료를 보다보니 보이네요. 우선 코로나19 백신을 맞았을 때, 주요이상반응의 확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19 백신별 접종실적과 이상반응 건수 분석 모더나 백신이 제일 접종실적이 적습니다. 그래서 단순 사망자수만 비교하면 안된다는 것을 보시는 분들도 아실 것입니다. 그래서 사망률과 중대이상반응률을 살펴보겠습니다. 중대이상반응에는 아나팔락시스 의심 증상이 포함되기 때문에 중대이상반응만 나타나도 다소 심각한 상태로 빠진다고 하겠습니다. 구분 접종실적 중대이상반응 계 사망 아나필락시스 의심 주요 이상반응 아스트라제네카 18,542,063 4,137 23..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