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암 예방을 위한 건강한 식생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잘못된 식습관이 암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암 발생 원인 중 식생활 및 영양에 의한 요인이 20~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채소와 과일에 존재하는 다양한 영양 성분들이 정상세포가 암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음식을 짜게 먹으면 위점막이 손상되어 쉽게 암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육류나 생선을 높은 온도에서 굽는 경우 암 유발을 촉진하는
강력한 발암물질들이 육류나 생선 표면에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섭취할 경우, 위암, 결장암, 췌장암, 유방암 발생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햄, 소시지 등 육가공품의 발색제로 이용되는 아질산염은
식도암, 위암, 간암, 폐암, 백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균형 잡힌 식사를 위하여 매끼 여섯 가지
식품군(예:곡류, 채소류, 콩류, 과일류, 유제품류, 당류)을 골고루 섭취하세요.
매끼 곡류를 주식으로 2~3종류의 채소류(예: 생채, 나물, 샐러드)와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 생선, 콩류를 1~2종류 섭취하며 당류는 음식조리 시 양념으로 사용합니다.
유제품류 및 과일류는 하루 1회 이상 간식으로 섭취합니다.
충분한 채소와 과일 섭취는 각종 암 예방(대장암, 위암, 직장암)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채소와 과일에 들어있는 항산화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파이토케미칼 등이 암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소금에 절인 음식(예: 김치, 젓갈)을 자주 섭취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짠 음식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위암 발생률이 10%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고농도의 소금은 위 점막의 세포를 자극하여 음식 속의 발암물질이 잘 흡수되도록 도와주어
간접적인 발암물질이 될 수 있습니다.
위암을 예방하기 위하여 소금 섭취를 줄이도록 합니다.
소금, 배추김치, 간장, 된장, 라면, 고추장, 총각김치 등을 통해
소금을 많이 섭취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쇠고기, 돼지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그릴이나 숯불로 구운 형태로 섭취할 경우
고기들이 탈 가능성이 높아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붉은 고기와 육가공품은 대장암 및 직장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햄, 소시지 등 육가공품에 사용되는 아질산염은 접촉하는 부위에 직접적으로 암을 유발합니다
(예: 식도암, 위암, 간암, 폐암).
따라서 육가공품을 통한 아질산염의 섭취를 줄이도록 합니다.
채소와 과일의 어떤 성분이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나요?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성분에는 항산화영양소(antioxidant nutrients),
식물생리활성물질(phytochemical) 및 식이섬유 등이 있습니다.
채소와 과일은 이러한 성분들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습니다.
항산화제의 종류로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A 및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티노이드, 셀레늄 등이 있습니다.
항산화제는 신체 내에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발암물질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세포 및 DNA의 손상을 예방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성분들은 영양보충제를 통해 섭취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채소나 과일을 통해
섭취하였을 때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더욱 큽니다.
항산화제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식품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식품 | 효과 |
채소(토마토, 풋고추, 브로콜리 등), 과일(감귤류, 딸기, 키위 등), 곡류 | 상처회복 및 세포 손상을 방지함 |
견과류(아몬드, 호두, 땅콩 등), 식용유(옥수수유, 대두유, 해바라기씨유 등), 고구마 등 | 유방암 및 폐암 등을 예방함 |
녹황색채소(고구마, 당근, 늙은 호박, 단호박, 망고, 시금치) 및 과일류(살구, 감귤류, 단감 등) | 노화지연, 폐기능 증진 및 항암효과가 있음 |
간, 우유, 계란 노른자 | 시력유지, 정상세포 발달 증진, 항산화작용이 있음 |
녹색채소류 (시금치, 케일 등) | 시각퇴화속도 지연, 암 위험도 감소시킴 |
토마토, 수박, 살구, 포도 등 | 전립선암과 심장병을 예방함 |
쌀, 닭, 생선 등 | 암세포가 종양으로 발전되는 것을 저지함 |
식물생리활성물질은 식물성 식품에 미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파이토케미칼(phytochemical)이라 지칭하며, 신체 내에서 항산화작용, 해독작용,
면역기능 증진, 호르몬 역할조절 및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죽이는 작용을 합니다.
이 성분은 모든 채소와 과일, 콩류, 차류, 견과류 등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식품 | 항암효과 |
사과, 배, 체리, 포도, 양파, 케일, 아욱, 브로콜리, 잎상추, 마늘, 녹차, 적포도주 | 뇌암과 기관지암의 성장 저지 및 오염물질과 흡연으로부터 폐 보호의 작용이 있음 |
녹차, 포도 | 항암 효과가 있음 |
자두, 딸기, 적포도, 키위, 건포도, 토마토, 현미 | 발암물질의 활성을 억제함 |
대두, 두부, 된장, 청국장, 콩나물, 감자, 옥수수, 땅콩, 멜론, 건포도 등 | 유방암 예방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골다공증 예방의 효과가 있음 |
배추, 브로콜리, 케일, 양배추, 순무 등 | 대장암 위험도를 감소시킴 |
마늘, 양파, 부추, 파 등 | 간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등을 예방함 |
오렌지, 자몽, 귤, 레몬 등 | 폐 보호 및 암 예방 효과가 있음 |
브로콜리, 양배추 등 | 유방암 예방, 발암물질 활성을 억제시킴 |
아마씨, 해조류, 대두와 같은 건조된 콩류, 곡류의 껍질 | 유방암 예방 효과가 있음 |
마른 콩류, 전곡류 등 | 항암효과가 있음 |
식이섬유는 체내 소화효소의 부재로 인해 소화할 수 없는 다당류로 장의 운동량을 증가시켜
변비를 예방하고 발암물질의 장 통과 시간을 단축시키고, 발암물질의 배설을 촉진시켜 암을 예방합니다.
이 성분은 식물성식품인 곡류, 채소, 과일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그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식품 | 항암효과 |
밀제품, 현미, 호밀, 쌀, 채소, 식물의 줄기, 밀겨 | 분변량 증가, 장 통과시간 단축(발암물질이 장 세포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줄임) |
사과, 바나나, 감귤류, 보리, 귀리, 강낭콩 | 음식의 위장 통과 속도를 지연함 포도당을 천천히 흡수시킴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
건강한 생활 누리시기를 바랍니다.
참고자료 : 국가암정보센터
암을 예방하는 좋은 음식 (0) | 2021.06.05 |
---|---|
암에 걸릴 확률을 높이는 음식 (0) | 2021.05.29 |